본문 바로가기
연애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데 부부에게 공통의 친구가 있는 것이 중요할까?

by 성공한 사막여우 2020. 10. 17.

내 할머니는 수십 년에 걸친 경험을 활용해서 인간관계에 관해 다른 가족들보다 좋은 조언을 해주실 수는 있지만, 할머니 역시 무엇이 관계를 지속하게 하는가에 대해 견해가 조금 모호하다. 예를 들어, 할머니는 부부에게 공통의 친구가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시곤 한다. 할머니는 이것이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라고 믿는다. 따뜻한 저녁이면 할머니는 할아버지와 뉴욕 퀸즈에 있는 집 작은 뒷마당의 야외용 의자에 앉아 친한 이웃들과 담소를 나눈다.


그렇지만 할머니를 배신할 위험을 무릅쓰고 말하건대, 데이터 과학은 할머니의 이론이 틀렸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근 일단의 컴퓨터 과학자들은 인간관계에 관한 사상 최대의 데이터세트인 페이스북을 분석했다.그들은 특정 시점에 ‘연애 중’인 많은 커플을 관찰했는데 이 커플 중 일부는 ‘연애 중’ 상태를 유지했고 일부는 ‘애인 없음’으로 상태를 바꿨다. 이 연구자들은 공통의 친한 친구들이라는 존재가 관계가 지속되지 않을 것을 예견하는 강력한 예측변수임을 발견했다. 애인과 함께 같은 소그룹의 사람들과 매일 밤 어울리는 것은 관계 유지에 좋지 않다. 오히려 서로 다른 사교 집단을 만나는 편이 관계를 굳건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보다시피 우리는 직관만으로도, 컴퓨터에서 멀찌감치 떨어져서 직감을 따라도 놀라운 일을 할 수 있지만 실수할 수도 있다. 할머니가 인지의 함정에 빠졌을 수도 있다. 우리에게는 자신의 경험이 가진 타당성을 과장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 과학자들이 쓰는 말로 하자면, 우리는 자신의 데이터에 비중을 둔다. 

 

할머니는 할아버지를 비롯한 친구들과 저녁나절 한담을 즐기는 데 너무 정신이 팔린 나머지 다른 커플들에 관해서는 충분히 생각지 않았다. 할머니는 시동생과 그 아내가 거의 매일 밤 같은 모임의 친구들과 수다를 떨곤 했지만 자주 싸우다가 결국 이혼했다는 사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할머니는 내 부모나 고모 부부를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 우리 부모님은 매일 밤 각자 다른 일(아버지는 친구들과 재즈 클럽에 가거나 운동 경기를 관람하고 어머니는 친구들과 식당이나 극장에 간다)을 하지만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고 있다.

 

출처: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 “모두 거짓말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