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에 지나치게 민감한 직원은 조직 분위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사람의 행동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직원과 일하고 싶어 하는 직원은 별로 없다.
일과 나를 동일시하는 시간은 평일 8시간만으로도 충분하다.
직장 내 인간관계는 멀지도 가깝지도 않게
9시 1분은 9시가 아니다.
에너지가 쉽게 방전되면 리더가 될 수 없다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의도적으로 만들어라
성실성에 기대지 말고 전문성으로 승부하라
성실하다고 일자리를 주지는 않는다
세분화된 전문영역을 잡아라
엉뚱한 곳을 기웃거릴 필요 없다
자기 분야에서의 최고임원을 목표로 하라
10년 이상 한 분야를 파야 전문가가 된다.
10년의 내공을 쌓아야 리더가 된다.
직무경력의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회사는 옮겨도 분야는 유지해야 한다.
나를 노출해야 선택과 인정을 받는다.
남들이 꺼리는 위험한 일에 나서야 눈에 띈다.
약점을 보완할 시간에 강점을 드러내라.
회사는 문제해결을 하라고 당신을 채용했다.
문제를 스스로 찾아주기를 바란다.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주기를 바란다.
당연한 것을 의심해보는 습관을 들여라.
급할 때 도움이 되는 조언자를 만들어라.
크고 넓은 시장에서 더 많은 고수를 만나라.
경쟁과 차별이 싫으면 성장을 포기하라.
불필요한 과거의 기록들은 잊어라.
영어를 못하면 성장에 한계가 있다.
문서작성 능력을 높이려면 비즈니스 문서나 레터를 찾아서 써 보는 훈련을 많이 해봐야 한다.
영어를 못하면 할 수 있는 일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영어라는 무기를 갖추지 못한다면 글로벌 무대에서 잘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다.
주장하지 말고 설득하라.
질문자의 시각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질문은 상대방에 대한 가장 호의적인 태도이므로, 질문이 많을수록 좋다.
듣는 것은 의무이자 능력이다.
이직을 했으면 3개월 안에 정착해야 한다.
경력사원이 전 직장에 대해 자주 언급하는 것은 가장 안 좋은 습관이다.
새 직장에 발을 담갔으면 전 직장은 잊어라.
질문하고 학습하는 모드를 유지하라.
사람들은 질문을 받거나 설명을 해달라고 하면 기분이 좋아지고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싶어 한다.
4D 환경
Diverse(다양성): 팀원들이 다양한 국적, 성, 배경,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다.
Dispersed(분산): 팀원들이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다.
Digital(디지털): 대면업무보다는 디지털을 이용한 업무가 많다.
Dynamic(역동성): 팀원들이 개방적이고 역동적이다.
나이,직급,서열은 머릿속에서 지워라
혁신과 창의는 수평적 사고에서 나온다
고민을 줄이고 실행에 초점을 맞춰라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희창 송사무장의 가난을 빠르게 벗어난 방법 "사이다 한 캔 안 사먹었어요." (0) | 2020.06.03 |
---|---|
작가 김정운 교수 "저는 40대 초반까지 경제적으로 가장 노릇을 전혀 못했어요." (0) | 2020.05.01 |
자존감 수업 "결정을 잘해야 자존감이 올라간다." (0) | 2020.04.24 |
차홍 아르더 차홍 “전 시험에 많이 떨어져서, 6년 했거든요." (0) | 2020.04.24 |
거만한 사람들에게 끌려다니는 사람들의 공통점 (1) | 2020.04.22 |